잇몸건강을 위한 칫솔 고르는 요령 잇몸건강을 위한 칫솔 고르는 요령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여러종류의 칫솔들입니다. 잇몸건강을 생각한다면 여러분들은 이 중에서 어떤 칫솔을 선택하여 칫솔질을 하십니까? 20대 초반까지는 충치에 쉽게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므로 치아를 위주로 닦는다는 개념의 칫솔질이 맞겠지만, 20대 중후.. 치아건강 2009.10.13
임플란트 수술, 피 한방울도 안나오게 하는 기법의 장단점과 조건 피 한방울 안 나는 임플란트 수술, 장점과 조건은? 김대진 기자 djkim@jknews.co.kr 기사입력 2009-09-24 18:22 최근 잇몸을 젖히지 않고 임플란트 수술을 하는 '최소절개 임플란트 수술법'이 도입,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작구 뉴연세치과 류성용 대표원장은 24일 "최소절개 임플란트 수술은 기술적으로 매우 섬.. 치과 이야기/언론에 소개된 뉴스기사 2009.10.12
치과질환인 충치는 전염병 치과질환인 충치는 전염병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충치는 사람에게 전염되는 전염병이다. 치과질환인 충치는 세균의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충치를 일으키는 뮤탄스 균이라는 특정 세균에 의한 질환이다. 무에서 유가 창조되듯이, 세균이 그냥 하늘에서 뚝 떨어져 생기지는 않는다는 것을 과거에 파스.. 치과 이야기/언론에 소개된 뉴스기사 2009.10.09
치과의사는 기술공일뿐 의사가 아니다? 치과의사는 기술공일뿐 의사가 아니다? 현직 개원 치과의사로서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니 여기에서도 희로애락 인간사가 다 담겨있는 듯 합니다. 그런데 간혹 제 블로그 포스팅의 글 본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이, "치과의사도 의사인가? 그저 기술공일뿐이지... 그래서 영어로도 doctor라고 안하고 dentist라.. 행복한 공간 뉴연세치과/행복한 치과의사 2009.10.08
틀니 보철, 이중관 틀니 (특수틀니)의 모습과 장단점 틀니 보철, 이중관 틀니 (특수틀니)의 모습과 장단점 이중관 틀니, 코너스 틀니라고 불리는 특수틀니의 착죵전후 모습입니다. 남아있는 치아 몇개에 의지해서 만드는 부분틀니는 크게 두가지 모습의 틀니가 있습니다. 하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리가 달린 부분틀니이며, 또 하나는 고리가 달려.. 보철 2009.10.07
치과의사가 자기딸 충치 치료 못한 사연 치과의사가 자기딸 충치 치료 못한 사연 여기는 어린이 전문치과입니다. 치과의사로서 아이들의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조언을 말씀드릴때 항상 강조했던 것 두가지가 있다면, 첫째, 밥을 먹일때 오랫동안 음식을 입속에 머금게 하지 말 것과, 둘째, 적어도 잠자기 전에 한번은 직접 부모님이 치실을 .. 어린이치료 2009.10.06
신경치료를 받아야 하는 치아들의 신경관 모습들 (대치동치과, 선릉역치과) 신경치료를 받아야 하는 치아들의 신경관 모습들 (대치동치과, 선릉역치과) 신경치료(근관치료)는 치아 뿌리 중심을 주행하는 신경관(근관)의 염증요소를 깨끗이 제거하고 소독하여 신경관으로부터 치아 뿌리끝으로 염증과 감염이 전달되지 못하게 하며, 치아의 생명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치주.. 충치치료 2009.10.05
아이의 첫 젖니 늦게 뽑으면 덧니가 될까? 아이의 첫 젖니, 늦게 뽑으면 덧니가 될까?? 아이의 첫 번째 젖니는 아래 앞니이다. 이 치아는 보통 생후 4-10개월 사이에 제일 처음 맹출 하는 치아이고, 만 5-7세 사이에 제일 처음 뽑게 되는 젖니다. 이렇게 범주가 다양하다는 건 몇 달 혹은 1-2년 정도 오차가 나도 비정상은 아니란 뜻이다. 많은 부모들.. 치과 이야기/언론에 소개된 뉴스기사 2009.10.01
잇몸질환 풍치가 충치보다 무서운 이유 잇몸질환 풍치가 충치보다 무서운 이유 치아와 치아주위조직인 치주조직을 도해한 그림입니다. 파란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은 치수조직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흔히 치아신경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치아에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치아의 경조직에 이상이 생겼을때 통증을 느끼게 해주거나 2차상.. 치주치료 2009.09.30
앞니 임플란트, 뼈이식을 함께한 기나긴 여정 앞니 임플란트, 뼈이식을 함께한 기나긴 여정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한 최후의 치료법은 신경치료 및 기둥(포스트) 치료를 함께 받은 경우입니다. 이런 치아는 최대한 쓰는데까지 쓰는 것이 중요한데, 혹시 문제가 생긴다면 더이상의 치료법을 선택할 수 없기에 대부분 발치하게 됩니다. 70대 여자 환자.. 임플란트 2009.09.29